전자책/서평

저는 왼손잡이도 AB형도 아니지만 (카라타치 하지메, 동양북스)

작은독서가 2021. 10. 31. 14:13

<별것도 아니다>

책 '저는 왼손잡이도 AB형도 아니지만' 전자책 표지 사진

 

성은 알면 알수록 복잡하다. 자신도 자신의 성 정체성을 깨닫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특히 성 관련 이야기를 금기시하는 우리나라는 더욱더 어렵다. 우리의 성교육은 현실과 동떨어졌고, 학생들은 교육이 어떻든 신경 쓰지 않는다. 어른들도 마찬가지다. 수업을 계속하는 것이 용할 지경이다. 물론 별 소용은 없다.

이 책은 성 정체성을 고민하는 작가의 개인적인 이야기다. 만화라는 장르도 그렇고, 작가의 의도도 그렇고 주제를 심각하게 묘사하지 않는다. 하지만 묘사가 가볍다고 내용도 가벼울까. 오히려 개인적인 이야기를 털어놓기에 내밀한 마음속까지 훤히 알 수 있다. 성 소수자가 어떻게 생각하고 느끼는지 말이다.

작가는 성 정체성에 혼란스러워하는 당사자다. 여성인데도 그 사실을 불쾌해한다. 남자가 되고 싶다는 얘기도 한다. 작가는 이 생각에서 더 나아간다. 과연 자신이 제대로 성 정체성을 생각해 봤는지 따져본다. 작가는 정체성 혼란의 근원을 탐색한다. 한 단어, 한 문장. 좋게 말하면 세세하고, 나쁘게 말하면 잡다한 것들을 몽땅 다시 생각해본다. 생각의 흐름은 그대로 이야기가 된다. 끝에서 작가는 자신의 성 정체성을 일단 정의하는 데 성공한다. 자신은 논 바이너리이고 연애 감정을 갖지 않은 사람이라는 사실. 그리고 딱히 남성이 되고 싶은 마음은 없었다는 사실을 말이다.

이 책은 작가의 자전적 만화이다. 성 정체성의 고민과 그 이유를 분석하는 과정은 절대 무겁지 않다. 오히려 유쾌한 부분도 있다. 성 정체성에 대해 고민한다면 가볍게 읽기 좋다. 특히 청소년들! 이들이 책을 읽는다면 자신에 대해 생각해보는 계기가 될 것이다.

자녀가 있는 부모에게도 강력하게 추천한다. 사실 성 정체성 고민이 없는 아이는 없다. 성에 대한 이야기를 금기시하는 세태가 이를 억압하고 있을 뿐이다. 책에서 일본의 성동일성장애 비율은 8%이라 한다. 왼손잡이의 비율과 비슷하다. 한국도 이런 고민에 잠 못 드는 밤을 보내는 청소년들이 있을 것이다. 그게 내 자식일 수 있다.

관련이 없다고 생각하는 사람에게도 이 책을 추천하고자 한다. 성적 다수자라서 느끼지 못한 아픔과 불편함이 성 소수자에게는 수없이 많다. 아주 사소한 말, 행동 따위에도 성 소수자는 아파한다. 적어도 이들을 이해하려고 노력을 해 보자. 성 소수자에 대한 편견, 혐오감을 가진 분께도 말한다. 그렇게 혐오하는 이가 어쩌면 당신 옆 사람일 수 있다. 소수자는 사실 생각하는 만큼 소수는 아니다. 훨씬 많다.

지금은 자살한 성전환 군인이 있었다. 그는 소송 결과를 받아들지도 못한 채 그대로 숨을 거뒀다. 그에 대한 여러 문제는 차치하고, 성 소수자로 살면서 받았을 괴로움을 이해하려고 해본 적 있는가? 흔한 가십거리 중 하나로 생각해 잊어버렸는가? 그렇다면 이 책을 읽자. 성 소수자는 현실에 존재하고, 그들이 차별과 멸시를 받는다는 것도 사실이다. 손바닥으로 하늘을 가려도 하늘은 있고 태양과 별과 달은 존재한다. 성 소수자도 마찬가지다. 그들은 존재한다.

생각해보면 별것도 아니다. 왼손잡이가 별것 아닌 것처럼.


 
저는 왼손잡이도 AB형도 아니지만(일인칭 2)
〈저는 왼손잡이도 AB형도 아니지만〉은 성별이 둘로만 나뉜 세상에서 애매한 경계선에 서 있는 사람들에 관한 이야기입니다. 저자 트위터에 연재된 만화가 인기를 얻으면서 2020년 단행본으로 출간되었고, 2021년 한국어판이 출간되었습니다. 저자는 여자로 태어난 것에 위화감을 느끼고 “남자가 되고 싶다!”고 생각하며 살아왔습니다. 그런데 곰곰이 생각해보니 수술해서 성별을 바꾸고 싶지도 않고, 남자가 되어 무언가를 하고 싶은 것도 아니라는데... “남자도 아니고 여자도 아니라면… 저는 대체 누구일까요?” 저자의 외침은 언젠가 다른 일로 내가 소수의 입장이 되었을 때 하고 싶은 말과 똑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별것 아닌 특징 중 하나. 개성 중 하나. 딱 그만큼의 일.’
저자
카라타치 하지메
출판
동양북스
출판일
2021.07.15

관련 추천도서